1. 상태 코드란?
상태 코드는 HTTP 응당의 일부분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낸 후 서버는 요청을 처리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각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구성되고, 특정 범주에 따라 그룹화를 이룹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요청의 성공 여부와 추가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상태 코드의 종류
- 정보 응답 (100-199)
- 100 Continue: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계속 진행할 수 있는 상태
- 100 Switching Protocols: 서버가 프로토콜 변경 요청을 수락했을 때
- 성공 응답 (200-299)
-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짐
- 201 Created: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
- 204 No Content: 요청에 성공했으나 반환할 콘텐츠가 X
- 리다이렉션 (300-299)
- 301 Moved Permanently: 요청한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다른 URL로 이동
- 302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임시로 다른 URL로 이동
- 304 Not Modified: 클라이언트의 캐시된 버전이 최신임을 나타냄
- 클라이언트 오류 (400-499)
- 400 Bad Request: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는 상태
- 401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하거나 실패상태
- 403 Forbidden: 요청이 거부됨
-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
- 409 Conflict: 요청이 현재 상태와 충돌
- 서버 오류 (500-599)
-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에서 예기치 않은 오류가 발생
- 502 Bad Gateway: 게이트웨이나 프록시 서버가 잘못된 응답을 받음
- 503 Service Unavailable: 서버를 일시적으로 사용 X (과부하 or 유지 관리)
3. 상태 코드 오류별 해결방법
- 400 Bad Request
- 원인: 잘못된 요청 형식 or 파라미터
- 해결법: 요청의 형식과 파라미터를 검토하여 올바른지 확인
- 401 Unauthorized
- 원인: 인증 정보가 없거나 유효하지 않음.
- 해결법: 올바른 인증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로그인하도록 유도
- 403 Forbidden
- 원인: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 X
- 해결법: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권한을 부여
- 404 Not Found
- 원인: 요청한 리소스가 서버에 존재하지 X
- 해결법: URL을 확인하고, 요청한 리소스가 올바른지 확인
- 409 Conflict
- 원인: 요청이 현재 상태와 충돌함
- 해결법: 요청의 상태를 검토하고, 충돌을 피하기 위한 수정을 적용
- 500 Internal Server Error
- 원인: 서버에서 예기치 않은 오류 발생
- 해결법: 서버 로그를 확인하고, 오류의 원인을 파악해 수정
- 502 Bad Gateway
- 원인: 서버가 잘못된 응답을 받음
- 해결법: 서버 간의 연결 상태를 점검, 필요한 경우 서버 설정을 수정
- 503 Service Unavailable
- 원인: 서버가 과부하 상태이거나 유지 관리 중.
- 해결법: 서버 부하를 줄이거나, 유지 관리가 끝날 때까지 기다림
LIST
'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SSR이란? 서버 사이드 렌더링 (0) | 2025.03.01 |
---|---|
[Web] 인터넷 프로토콜의 종류 (0) | 2025.02.27 |
[Web] 개발자의 종류에 관해 (0) | 2025.02.23 |
[Web] NoSQL vs SQL의 차이점 (0) | 2025.02.22 |
[Web] 쿠키와 웹 스토리지의 차이(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