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Unity를 사용한 2D 프로젝트 만들기이번 시간에는 아주 간단하게 Unity 2D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겠습니다. Kenny라는 사이트에서 무료 Assets를 참고해서 만들어볼건데요..먼저 저는 하나 선택을 했기때문에 제가 선택한 Assets를 선택하셔도되고 아니면 참고해서 아무거나 실습해보셔도 좋습니다. Tiny Town · KenneyDownload this package (130 assets) for free, CC0 licensed!kenney.nl 사이트로 가서 Download버튼을 클릭해서 다운로드해줍니다. 창 하나가 떠있는데 바로 Continue without doneting..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이전 시간에 설치한 Unity Web을 실행시켜줍니다. 실행 시..
✅ 1. where 제약조건제네릭은 기본적으로 어떠한 타입이든 동작하나, 때때로 특정 기능을 보장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T가 반드시 선언한 값을 상속하고 기본 생성자가 있어야만 하고 싶다면 where 제약조건을 사용합니다.public class Human{ public virtual void Speak() => Console.WriteLine("나는 인간이야");}public class Hungry : Human{ public override void Speak() => Console.WriteLine("나 배고파");}public class Sleep : Human{ public override void Speak() => Console.WriteLine("나 졸려");}//..
✅ 1. LinQ란?LINQ(Language Integrated Query)는 C#에 데이터 컬렉션(List,Array, Dictionary 등)이나 DB(Entity Framwork 등)에 쿼리 스타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2. 그룹화(Grouping)그룹화(Grouping)은 특정 데이터를 특정한 키로 묶어 그룹별로 집계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using System;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using System.Data;using System.Linq;public class Movies{ public string Title { get; set; } public DateTime ReleaseDate { get; set;..
✅ 1. 람다식 (Lambda Expression)람다식(Lambda)는 익명 메서드(이름 없는 메서드)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방식입니다.(매개변수) => 식 or { 문장들 }class Lamda{ static void Main() { // Normal Method int Square(int x) { return x * x; } // Lamda Method Func square = x => x * x; Console.WriteLine(square(5)); }} ✅ 2. Func Func는 반환 값이 있는 람다식/메서드를 담는 제네릭 델리게이트(delegate)로 최대 ..
📙 1. 델리게이트 (Delegate)델리게이트(Delegate)는 메서드를 참조하는(가리킬 수 있는) 타입으로 메서드 포인터 같은 역할을 담당합니다, 특정 메서드 대신 호출하거나, 메서드를 변수처럼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델리게이트 선언public delegate void MyDelegate(string message);// 클래스 선언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 { // 델리게이트 변수에 메서드 등록 MyDelegate myDel = printMessage; // 호출 myDel("Hello Delegate!"); } static void printMessag..
📙 1. C# 예외 처리 (Exception Handling) C# 프로그램은 실행 도중 예상치 못한 오류(ex.Exception)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try, catch, finally와 사용자 정의 예외를 사용해 방지할 수 있습니다.try{ //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catch (예외형식 e){ // 예외 발생 시 실행되는 코드}finally{ // 예외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실행되는 코드}try: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코드 블록catch: 특정 예외를 잡아서 처리 finally: 예외 발생 여부와 상관 없이 실행 (자원 해제, 연결 종료 등에 자주 사용됨)📙 2. C# 기본적 예외 처리예..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