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Express 란?Express는 Node.js 환경에 동작하는 가장 인기있는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웹 어플리케이션 및 API 서버를 더욱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라이브러리로 Node.js가 엔진이라면, Express는 Node.js 엔진 위에 있는 웹 서버 자체를 쉽고 빠르게 올려주는 웹 프레임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Express 특징간결함: 최소한의 코드로 웹 서버 구축강력한 라우팅(Routing): URL 요청이 오면 어디로 보낼 것 인지, 어떤 함수가 처리할 지를 정확하게 정해주며, HTTP 메서드 (GET, POST 등)별 처리까지 언급해줌미들웨어 (Middleware) 시스템: 요청이 들어오고 응답이 나가기 전까지, 중간에 끼어들어 모든 것을 통제함템플릿 엔진 지원: ..
1️⃣ 스칼라 변수 ( $ )Perl의 스칼라 변수는 하나의 값(숫자 혹은 문자열)을 저장하며 변수 앞에 $ 기호를 붙힙니다.my $name = "Sally";my $age = 30;my $hobby = "reading";my $blog = "https://sallysblog.example.com";print "$name is $age years old and enjoys $hobby, Check out her blog at $blog.\n"// "Sally is 30 years old and enjoys reading, Check out her blog at https://sallysblog.example.com."2️⃣ 배열 ( @ )배열은 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한 것이며, 변수명 앞에 @ 기..
1️⃣ Perl이란?Perl은 1987년 Larry Wall이 개발한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텍스트 처리, 시스템 관리 스크립트, 웹 CGI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입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문자열 처리 강력: 정규 표현식 기능이 매우 강력함플랫폼 독립성: 윈도우, 리눅스, macOS 등 다양한 환경에서 동작함CPAN: 수많은 모듈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저장소유연한 문법: 같은 결과를 여러 방식으로 구현2️⃣ Perl은 어디에서 사용되나?서버 로그 분석텍스트 파일 자동 처리웹 서버 CGI 프로그램데이터 변환 및 파싱시스템 관리 자동화3️⃣ Perl 설치하기🪟 Windows 버전Strawberry Perl 다운로드공식 사이트 접속"Download"에서 최..
✅ 1. 스래드 생성 방법Java 에서 스레드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1️⃣ Thread 클래스 상속class MyThread extends Thread { @Override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Thread is running: " + Thread.currentThread().getName()); }}public class ThreadClass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Thread t1 = new MyThread(); t1.start(); // Start the first thread }}run() ..
✅ 1. 다양한 스칼라 타입 사용법 (String, Int, Boolean)먼저 저번시간에 사용했던 index.js에 express graphql을 참고하여 그대로 파일 하나를 만들어 typeDefs를 먼저 작성할 겁니다1️⃣ typeDefs 작성 (schema)type Query { hello: String number: Int isAwesome: Boolean }String: 문자열 반환Int: 정수 반환Boolean: true/false 반환2️⃣ resolvers 작성const resolvers = { Query: { hello: () => "Hello, GraphQL!", number: () => 123, isAwesome: () => true, },};3️..
✅ 1. Koa란?Koa는 Node.js 환경에 사용되는 웹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Express.js를 만든 팀에서 개발한 차세대 프레임워크입니다. Koa의 주요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미들웨어 중심 설계: Koa는 async/await 방식으로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미들웨어가 연속으로 돌아감, 요청이 들어오면 미들웨어들이 체인처럼 연결되어 순서대로 처리됨 초경량 코어: 기본적으로 내장된 것은 없고, HTTP 코어만 존재함 라우팅, 템플릿 정적 파일 서비스는 직접 원하는 미들웨어를 붙여서 쓰는 방식임강력한 오류 처리: 미들웨어 스택 방식으로 오류처리가 탁월함, 미들웨어 스택 중간에 에러가 나도 상위 미들웨어에서 깔끔하게 잡을 수 있음컨텍스트 객체 (ctx): 요청과 응답을 ctx 객체 하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